목록나르시시스트부모 (59)
흙멘탈리스트
결론: 남들에게만 그렇습니다. 구체적으로: 나르시시스트식의 ‘완벽주의’에 어울리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제적 사정이 썩 좋지 못해 외식을 하고 싶은데 좋은 곳은 가지 못하고 김밥천국에 간 사람이 김밥천국 메뉴를 싸구려라고 비웃고 거기에 있는 손님들을 비하하며 수준 안 맞아 같이 밥을 못 먹겠다고 난리를 피운다고 가정합시다. 고급 식당과 비교해가며 김밥천국을 비하하고 이딴 식으로 음식 만들지 말라고 장광설을 늘어놓습니다. 이런 사람은 완벽주의자일까요? 나르시시스트식 완벽주의라는 것이 바로 이런 모습입니다. 본인의 사정 때문에 김밥천국에 자기 발로 와놓고 고급 레스토랑 수준과 다르다며 멀쩡한 김밥천국이 뭘 잘못한 것처럼 말하는 게 나르시시스트식 완벽주의입니다. 완벽해야 하는 대상에서 본인은 쏙 빠지고 ..
결론: 아니요. 구체적으로: 미디어를 비롯해 자극적인 발언으로 인기를 얻는 대중심리학 자료들에서 크게 잘못 심어놓은 개념이 바로 나르시시스트/소시오패스/사이코패스 등의 착취적 인간형을 천재로 보는 시선입니다. ‘나르시시스트/소시오패스/사이코패스는 머리가 너무나 좋고 능력이 출중하고 야심만만하고 이성적인 판단력이 뛰어나 일반인의 머리 꼭대기에서 놀고 커리어 면에서 승승장구하며 권력자와 리더가 된다’는 환상이 만연한 나머지 은근히 선망하는 시선마저 있습니다. 이런 환상은 나르시시스트/소시오패스/사이코패스들이 원하는 타인의 시선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해 이 성향과 지능 및 재능은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그들 중 지능과 재능이 있는 사람들이 성공한 사업가나 정치가가 되는 것이고, 그보다 훨씬 더 ..
“우리 부모님은 어릴 때부터 제 모든 친구들에 대해 부정적인 톤으로 말합니다. 어떤 친구 이야기를 하든 트집을 잡거나 본인만의 상상과 추정을 붙여서 나쁜 애일 거라는 식으로 말해요. 친구 자체에 대해서만 그렇게 말하는 게 아니고 친구의 부모나 집안에 대해서도 싸잡아 말합니다. 가정교육을 못 받았을 것이다, 부모가 엉망이니까 네 친구도 보고 배운 게 그 모양인 거다 이런 식으로요. 제가 사귀는 친구는 거의 전부 다 마음에 안 든다고 하면서 친구를 똑바로 사귀라고 잔소리를 해요. 제가 친구를 변호하면 저를 멍청이로 몰아갑니다. 세상 물정을 모른다느니, 걔가 널 아주 잘 이용해먹겠다느니, 그런 놈한테 호구 노릇해줄 시간에 부모한테나 잘하라느니 하면서요. 어릴 때는 몰랐지만 크면서 그게 패턴이라는 걸 알고 친구..
나르시시스트 부모에게 상처받았음을 알리면 죄책감을 느끼나요? 결론: 아니요. 구체적으로: 나르시시스트는 죄책감을 느끼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좀 더 자세히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흔히 나르시시스트/소시오패스/사이코패스 유형의 착취자들이 죄책감을 갖지 않는 것이 ‘공감 능력이 없어서’, ‘못돼먹어서’, ‘이기적이라서’, ‘냉정해서’라고들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이런 설명은 정확한 설명이라고 볼 수 없으며 그저 겉보기 현상을 추상적으로 묘사한 것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인간형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거의 되지 않습니다. 나르시시스트/소시오패스/사이코패스 유형이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이유는 이들이 남들 앞에서 연기를 할 때 보이는 모습과 무관하게 내면이 텅 비어 있어 있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