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흙멘탈리스트/나르시시스트 부모 (57)
흙멘탈리스트
자식의 나이가 어느 정도 들고 독립이 가능해지면 나르시시스트 부모와는 연을 끊는 것이 최선이지만, 독립이 불가능해 어쩔 수 없이 부모와 동거해야 하는 시기라면 부모에게 최대한 피해를 덜 받도록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아직 부모에게 의존적인 아동/학생 시기에는 부모가 상당 부분 자식의 결정권을 대리로 행사하기 때문에 그만큼 부모로부터 받을 수 있는 피해도 큽니다. 원치 않는 결정, 옳지 않은 결정을 강요당하고 그로 인해 인생의 방향 자체가 영구적으로 뒤틀리는 경우도 매우 많습니다. 미성년 시기에 올바른 의사 결정 과정을 배우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아직 나이가 어리고 경험이 부족한 미성년자의 판단력은 주변 성인의 도움과 보완을 받아 신장되어야 합니다. 부모와 자식은 이 과정에서 단지 의견이 같..
“우리 부모님은 어릴 때부터 제 모든 친구들에 대해 부정적인 톤으로 말합니다. 어떤 친구 이야기를 하든 트집을 잡거나 본인만의 상상과 추정을 붙여서 나쁜 애일 거라는 식으로 말해요. 친구 자체에 대해서만 그렇게 말하는 게 아니고 친구의 부모나 집안에 대해서도 싸잡아 말합니다. 가정교육을 못 받았을 것이다, 부모가 엉망이니까 네 친구도 보고 배운 게 그 모양인 거다 이런 식으로요. 제가 사귀는 친구는 거의 전부 다 마음에 안 든다고 하면서 친구를 똑바로 사귀라고 잔소리를 해요. 제가 친구를 변호하면 저를 멍청이로 몰아갑니다. 세상 물정을 모른다느니, 걔가 널 아주 잘 이용해먹겠다느니, 그런 놈한테 호구 노릇해줄 시간에 부모한테나 잘하라느니 하면서요. 어릴 때는 몰랐지만 크면서 그게 패턴이라는 걸 알고 친구..
나르시시스트 부모에게 상처받았음을 알리면 죄책감을 느끼나요? 결론: 아니요. 구체적으로: 나르시시스트는 죄책감을 느끼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좀 더 자세히 알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흔히 나르시시스트/소시오패스/사이코패스 유형의 착취자들이 죄책감을 갖지 않는 것이 ‘공감 능력이 없어서’, ‘못돼먹어서’, ‘이기적이라서’, ‘냉정해서’라고들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이런 설명은 정확한 설명이라고 볼 수 없으며 그저 겉보기 현상을 추상적으로 묘사한 것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인간형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거의 되지 않습니다. 나르시시스트/소시오패스/사이코패스 유형이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이유는 이들이 남들 앞에서 연기를 할 때 보이는 모습과 무관하게 내면이 텅 비어 있어 있기 때..
부모가 나르시시스트일 때 나의 인생을 지키기 위해 적절한 대응 방법은 무엇일까에 대한 대답은 연인이나 친구가 나르시시스트일 때의 대응 방법과 다르지 않다. 말인즉슨, 연을 끊는 게 유일하게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는 것이다. 연을 끊지 않은 상태에서 어떻게든 대처를 해보려고 한다면 피해를 약간 덜 보는 방법은 있어도 아예 안 보는 방법은 없다는 것, 그리고 그런 상태가 평생을 갈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이걸 인정하지 않겠다면 아직 나르시시스트와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며, 이러한 이해 부족은 오히려 대처를 어렵게 만든다. 나르시시스트에 대한 이런저런 자료들을 찾아보면 여기에서의 주장과 마찬가지로 연을 끊는 게 무조건 최선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연을 안 끊은 상태에서도 얼마든지 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