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나르시시스트 (71)
흙멘탈리스트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긴 하나요? 결론: 아니요. 하지만 부모 본인은 자식을 사랑한다고 주장합니다. 겉으로만 그렇게 주장하는 게 아니라 본인도 스스로 그렇게 믿거나, 적어도 한때는 사랑했는데 자식의 잘못으로 인해 사랑이 없어졌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구체적으로: 상당수의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식에게 대놓고 무관심하거나 자식을 귀찮아하며, 스스로도 그것을 인지합니다. 다만 겉으로 그렇게 말하면 지탄을 받게 되니 솔직하게 말하지 못하는 것 뿐입니다. 싫다고 말도 못하고 억지로 양육이라는 엄청난 노동을 떠맡은 나르시시스트 부모가 느끼는 스트레스는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이 스트레스는 고스란히 자식에게 청구됩니다.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기 정당화를 위해, 내가 애정이 없어서가 아니라 자식이 문제..
나르시시스트 부모가 나이 들면 어떻게 되나요? 결론: 대개의 경우 더 힘들어집니다. 구체적으로: 1. 바라는 것이 더 많아집니다.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생각, 노화로 인한 심신의 약화 등은 안 그래도 요구하는 것이 많은 나르시시스트 부모의 성향을 한층 더 강화합니다. 2. 면책 요구도 더 많아집니다.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생각, 노화로 인한 심신의 약화 등을 이유로 본인이 무슨 잘못을 해도 주변인들이 이해해주고 용서해주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3. 선택적 기억 상실도 심해집니다. 불리한 일이면 무조건 기억나지 않는다고 하는 일이 한층 더 늘어납니다. 고령으로 인해 주변인들이 치매를 의심하면 이것도 역이용해서 본인의 건강을 걱정하게끔 유도합니다. 4. 이유 없는 분노가 많아집니다. 모두가 죽..
“어느 날 저녁에 제가 갑자기 기절한 적이 있는데 별 일은 아니었어요. 침대에서 떨어져서 머리를 바닥에 찧긴 했는데 침대가 높지 않았고 몇 초만에 깨어났죠. 깨어나서 무슨 상황인지 저도 황당해서 그냥 ‘나 왜 이러지?’ 했는데 그걸 쳐다보던 엄마가 굉장히 못마땅한 표정을 지으시더군요. 병원에 갔다 왔는데 의사가 별 거 아니라고 그냥 안정을 취하게 해 주고 편히 쉬라고 했어요. 그런데 엄마는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화가 나는 것처럼 보이더니 급기야 다음날에는 ‘넌 대체 내가 뭘 어떻게 해줘야 하니?’ 이러시는 거예요. 전 엄마를 탓한 적도 없고 아프다고 징징거린 적도 없는데요.”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식이 자신의 위상을 올려주거나 자신에게 직접적인 이익을 가져다주는 경우에만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기 때문에 ..
착취적 대인관계는 범죄 등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지만 평범해보이는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가족 간 착취, 친구 간 착취, 직장 상사의 착취, 연인 간 착취 등 착취 대상과 방식의 디테일은 다양하지만, 모든 착취적 대인관계가 향하는 목적은 단 하나, 타인을 이용해 부당 이익을 취하는 것이다. 과연 인권 개념이 발달한 현대에 일방적 착취 관계가 가능할까를 의심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법은 최소한의 인권만을, 그것도 '사후적으로' 보장할 뿐 인생 전반에 걸쳐 공평성을 보장해주는 장치가 아니다. 물론 그러한 법 덕분에 본인의 의지만 있다면 이러한 관계를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명백한 괴로움에도 불구하고 착취를 착취로 인식하는 자각이 없거나, 자각을 해도 벗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