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나르시시즘 (74)
흙멘탈리스트
나르시시스트 부모에게 잘해드리면 어떻게 되나요? 결론: 나르시시즘이 더 심해집니다. 구체적으로: 한국은 자식을 포함한 젊은 세대에게 비합리적인 요구를 하거나 생떼를 쓰는 ‘어른들’에게 매우 관대합니다. 상식적으로 분명 잘못된 언행인데도 상대가 나이 든 어르신이라는 이유만으로 어떻게든 궤변적인 해석을 통해 잘못되었다는 판단을 피해가거나, 기껏해야 ‘그냥 네, 네 하고 넘어가라.’는 정도의 조언을 하곤 합니다. 그게 지혜로운 거라는 이상한 통념도 있습니다. 겉으로나마 비위 맞춰드리고 충돌을 피하는 게 어르신들의 미움을 사지 않고 사회적 평판도 지키는 길이니까 본인에게도 이익이라는 논리입니다. 그러나 이는 소탐대실을 불러오는 전형적인 사고방식입니다. 나르시시즘의 비위를 맞추는 행위는 절대로 비위를 맞추는 당사..
인간 관계에서의 권력 구도를 파악할 때 한국 사람들이 가장 흔하게 저지르는 오류는 정량적으로 평가한 누군가의 사회경제적 위치를 특정 상황에서의 상대적 권력과 동일시한다는 점이다. 어떤 경우에는 다분히 의도적이기도 한데, 이를테면 병원 경영진 조직이 권력으로 휘두르는 비합리적인 횡포가 괴롭다고 느끼는 봉직의에게 “전문직씩이나 되면서 무슨 대단한 권력의 횡포를 당한다고 그러냐?”고 비아냥거린다거나, 서민 집안의 가정폭력범 사례에서 유교 문화가 부여하는 가장의 권력에 대해 이야기하면 “서민 집안 가장에게 무슨 권력이 있다고 그러냐?”며 엉뚱한 반박을 하는 식이다. 당연한 얘기지만 관계의 상대성을 고려한 전자의 ‘권력’과 한 사람의 사회적 영향력 범위를 나타내는 후자의 ‘권력’은 단어만 같을 뿐, 실제로는 전혀..
다른 나라보다 한국에 나르시시스트 부모가 많나요? 결론: 통계는 없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부모-자식 관계가 아닌 다른 관계에서의 나르시시즘이 한국에 특히 많이 보인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나르시시스트 ‘부모’에 한해서는 한국에 더 많이 존재하며, 전체적으로 한국 부모의 나르시시즘 양상이 더 심하다고는 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명백히 문화적인 것입니다. 한국의 문화는 다른 문화권에 비해 자식과 부모를 연좌제식으로 묶어 운명공동체로 보는 경향이 강하고, 부모에 대한 순종과 존경을 강요하는 사회적 압력이 크기 때문에 부모의 나르시시즘을 너그럽게 용인하고 심지어 부추기기까지 합니다. 나르시시스트는 타인의 반응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자존감을 채우기 때문에 사회..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긴 하나요? 결론: 아니요. 하지만 부모 본인은 자식을 사랑한다고 주장합니다. 겉으로만 그렇게 주장하는 게 아니라 본인도 스스로 그렇게 믿거나, 적어도 한때는 사랑했는데 자식의 잘못으로 인해 사랑이 없어졌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구체적으로: 상당수의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식에게 대놓고 무관심하거나 자식을 귀찮아하며, 스스로도 그것을 인지합니다. 다만 겉으로 그렇게 말하면 지탄을 받게 되니 솔직하게 말하지 못하는 것 뿐입니다. 싫다고 말도 못하고 억지로 양육이라는 엄청난 노동을 떠맡은 나르시시스트 부모가 느끼는 스트레스는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이 스트레스는 고스란히 자식에게 청구됩니다. 나르시시스트 부모는 자기 정당화를 위해, 내가 애정이 없어서가 아니라 자식이 문제..